영화 평점 다시 보기

할 일 없고 따분할 때, 왓챠에 들어가 내가 매긴 영화 평점들을 다시 살펴본다. 점수를 매길 땐 영화를 본 당시의 내 기대, 기분, 흥분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감정 요소가 빠져서 점수는 점점 낮아져 간다. 예를 들어 〈쥬라기 월드〉는 별 5개에서 4개로, 〈엣지 오브 투모로우〉는 별 4개에서 3개로 떨어졌다. 시간이 충분히 흘렀으니 여기서 더 떨어질 일은 없을 것 같지만, 영화에 따라 더 낮춰지는 것들도 있다. 방금도 〈13번째 전사〉 같은 옛날 영화가 별 4개를 갖고 있길래 하나 뺏었다. 4개 줄 작품은 아니었지. 반면 어떤 작품은 시간이 지나면서 추억 보정이 붙어 점수가 쭉 유지된다. 별 4개를 매긴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은 지금 생각해보면 그 정도는 아니지만 개봉했을 땐 정말 재밌게 봤기 때문에 별점을 바꾸지 않고 있다. 기준은 제각각이지만 난 평론가가 아니니까 괜찮아.

처음 도쿄 001



드디어, 도쿄에 간다. 4개월에 가까운 기다림 끝에 처음으로 도쿄에 간다. 그래도 일본행 고속버스 수준인 비행기에서 할게 뭐 있을까. 친구는 피곤하다고 자버렸으니 멍하니 시간을 때우고 있었다. 이때부터 많은 걱정이 들기 시작했다. 여행을 제대로 할 순 있을까, 안좋은 일은 안생길까. 특히 둘만 가는거다보니 틀어질 때 중재해 줄 사람도 없으니 걱정이 깊어가기만 했다. 구주쿠리 해변이 보이기 시작해서 기대가 커져갔지만 그래도 걱정이 줄어드는 건 아니었다. 뒤죽박죽된 머리 덕분에 나리타공항에서 도쿄메트로 3일권도 못사고 그냥 도쿄로 들어와버렸다. 미안하다는 나한테 친구는 괜찮다고 했지만 이미 스스로에게 실망해버렸다.



浅草 牛かつ
食べログ

아사쿠사역 근처의 숙소에 체크인하고 배고픈 우리는 얼른 밥 먹으러 나왔다. 맨처음 식사는 아사쿠사 규카츠로 정해뒀다. 여행 첫 끼니는 언제나 좋은 걸로 정해둬야지. 갔더니 우리 앞에 사람은 없었지만 조금 기다려야했다. 그 후에 우리 뒤로 사람들이 몇 팀이나 오고 말이지. 시간 잘 맞췄다. 미리 주문을 해야했는데 마가 들어가지 않은 세트로 골랐다. 마를 먹어본 적은 없는데, 먹어본 친구의 말을 들어보니 좀 그렇더라.




그리고 영접한. 그래 영접한 규카츠는 아름다웠다. 어쩜 그리도 맛이 나는지 감탄사가 나오다가 기뻐서 도로 들어가버린다. 사실 감탄사 외치긴 했다. 배가 고픈 것도 있었지만 밥을 먹는데 말을 하기가 어려웠다. 이렇게 맛있는 걸 두고 어떻게 대화를 할 수 있겠어. 내 옆엔 이제 시작하는 것 같은 커플이 앉았는데, 남자는 내가 저 세트 하나를 먹는 동안 밥 오카와리를 두번이나 했다. 와, 그게 다 배에 들어가지나? 그리고 다 먹고 나서야 마요네즈도 준다는 걸 알았는데 — 다른 손님이 마요네즈를 달라고 하더라 — 그렇게도 먹어보면 좋았을텐데 아쉽더라. 이 나라는 마요네즈 참 좋아한단 말이지.
다행이도 규카츠를 먹고나니 걱정이 많이 날아갔다. 다 날아간건 아니지만, 이렇게 좋은 음식으로 시작한 여행이 실패할리는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음식 치료라는 게 있다면 이런 거겠지 싶었다.



멀리 스카이트리가 보인다. 이때만 해도 가까이 있구나 생각했었다. 실제론 너무 커서 가까이 있는 걸로 보이는 것 뿐이다. 밤이 되어 문 닫은 아사쿠사 나카미세도리에는 사진을 찍는 몇몇 이들만 있었다. 나도 찍었고. 항상 모니터 너머로만 보던 곳을 직접 보니까 이상하더라. 내가 도쿄 온거 맞나 싶다가 이제야 내가 도쿄에 있구나 싶은 기분.
숙소로 돌아와 씻고 침대에 누우니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심지어 이불이 너무 두꺼워서 날 질식시킬 것만 같은 행복을 느꼈다. 좋았다는 말이다. 매트리스는 그렇게 푹신하진 않았지만 이불이 집에 갖고 가고 싶을만큼 두꺼워 좋았다. 다른 여행객들이 계속 있어서 따로 숙소를 찍어놓은 사진이 없어서 아쉽다. 다음날엔 공항에서 사오지 못한 도쿄메트로 승차권을 사러 유락쵸에 가야하기 때문에 이날은 일찍 잠에 들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드는 또다른 To Do list 앱, 프로젝트 체셔


via MSPoweruser

MSPoweruser에 올라온 Mehedi Hassan의 글이다.

프로젝트 체셔는 어떤 앱인가? 윈도우10용으로 제작된 (…) 할 일 목록 앱이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Wunderlist도 가지고 있다. 그러면 왜 또다른 할 일 목록 앱을 만드는 걸까? 어쩌면 마이크로소프트 개러지 프로젝트로 만들어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개러지 프로젝트일 수도 있다지만, 아니라면 왜 만드는 것일까? 아웃룩닷컴의 — 오피스 아웃룩이 아닌 — 할 일 목록은 언제까지 웹에만 묶어둘 것인가? 분더리스트가 아웃룩닷컴이나 아웃룩 앱과 연동되기는 할까? 게다가 원노트 또한 목록 작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중구난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