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사는 것

댓글 남기기

개혁주의 학교에서 배우고 개혁주의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다보니 가끔, 아니 자주 마주하게 되는 모습들이 있다. 그건 바로 사람들이 과거에 살던 사람처럼 생각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모습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이들이다. 그런데 어느 한 지점, 어느 생각들에 이르면 갑자기 16세기 사람처럼 사고한다. 게다가 조선인의 사고방식도 아닌 스코틀랜드인처럼 생각하는데 이쯤되면 무슨 말인지 알 것이다.

더 신기했던 건 이 모습을 보이는 게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점은 학부생 시절 스무한살 대학 2학년생과 이야기하면서 그에게서 나이 든 장로교도의 모습을 봤을 때 확실히 느꼈다. 단 세 살 차이였음에도 그와 나 사이의 간격은 세기를 가로지르듯이 느껴졌었다. 또 이런 적도 있다. 한 20대 중반의 여성이 자신이 일하고 있는 직장과 이후의 커리어에 대해서 뜨겁고 확고하게 이야기하셨다. 직종만 조금 달랐다면 사업을 시작하셔도 괜찮아 보이는 수준이었다. 그러다 결혼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녀는 결혼하면 그 모든 걸 그만두고 남편을 내조하며 살겠다했다. 여기까지야 자신이 그렇다는데 그렇구나 했었다. 그런 사람들도 많이 있고. 그런데 덧붙이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하나님을 믿는 여자는 당연히 그래야죠.” 거기서 왜 하나님이 나오고 ’당연’이란 말이 나와야하는지 지금도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요새 교회와 나 사이에 있는 거리감을 제일 크게 느끼는 부분이 이것이다. 왜 보수기독교인은 과거를 살아가는 것일까. 그냥 과거도 아닌 16-17세기 서유럽이라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이다. 이것이 칼뱅의 제네바에 대한 페티시즘으로 보이기까지 하면 과한 걸까.

덧붙임. 그동안 교회와 나 사이에 놓여있는 문제들을 두고 생각을 많이 해보았지만 내 분야의 지식은 물론이고 내 분야가 아닌 지식들까지 공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결론을 내린 것은 많지가 않다. 안다, 이거 다 변명이다. 요즘에 든다는 위의 생각도 그렇다. 이 생각에서 더 나아가서 근대주의 이후 사조들에 대한 공포 같은 것도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여기서 할 이야기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리고 원래 이런건 사석에서 안주거리 삼아 논할 이야기거리인 듯하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