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이라 불릴지라도 시대와 맞지 않으면 별 수 없다. 어떤 책은 문장이 길목을 막고 어떤 작품은 사상이 발목을 잡는다. 지금 내가 그러고 있었다. 60년 전 소설을 읽으며 한 쪽 한 쪽을 겨우겨우 나가고 있다가 현대 소설을 잠깐 펼쳐보니 말 그대로 물 흐르듯 넘어간다.
소설에도 상미기한이 있다.
2016년 10월의 시청각
책보다 영화와 보낸 한달이었다. 노래도 별로 안듣고.
# 읽었다
달을 판 사나이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하인라인의 세계관 단편집. 연표를 보면 그의 세계관 타임라인의 초창기를 다루고 있다. 표제작 〈달을 판 사나이〉와 마지막 〈도로는 굴러가야만 한다〉 정도나 괜찮지 나머지는 자신의 설정놀이에 빠진거라 영. |
# 보았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 클린트 이스트우드, 2016 보수 감독의 격조 있는 보수 영화. 정치색은 달라도 여전히 잘 만든 작품을 내주는 감독에게 감사하다. |
분노 이상일, 2016 http://joseph101.com/2016/10/3802 |
산 아미르 나데리, 2016 이야기하는 바는 알지만 그 이야기에 너무 빠져들어버린 건 아닐까. |
시네마 트래블러 셜리 아브라함, 아밋 마데시야, 2016 새로운 시대에 자신을 맡기는 사람, 바꾸기 너무 어려운 사람, 다르게 바꾸어 가는 사람 |
루이 14세의 죽음 알베르 세라, 2016 난 정말 이런 영화를 좋아하는구나 싶었던 발견. 거의 모든 장면이 회화처럼 보이는 것도 맘에 들고. 죽어가는 루이 14세는 결국 관객을 얘기하는게 아닌가 싶었다. 영화의 마지막 대사를 들으니 왠지 모르게 그런 확신이 든다. |
물을 데우는 뜨거운 사랑 나카노 료타, 2016 정말 최고의 사랑이 아닐까. 누가 이런 사랑을 할 수 있을까. |
아주 긴 변명 니시카와 미와, 2016 http://joseph101.com/2016/10/3808 |
어라이벌 드니 빌뇌브, 2016 http://joseph101.com/2016/10/3810 |
신 고지라 안노 히데아키, 2016 http://joseph101.com/2016/10/3813 |
치하야후루 상편 코이즈미 노리히로, 2016 청춘 스포츠물은 그냥 스포츠물과는 다른 결을 가진 장르이며, 언제나 최고다. |
〈신 고지라〉 (2016)
한가지 얘기하고 넘어가자. 국제 영화제에서 스타리움관에서 영화를 튼다고 하면 ‘그 큰 화면으로 영화를 보겠구나’하고 기대하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 특히 이틀 전에 본 같은 스타리움관에서 〈루이 14세의 죽음〉을 봤으니 더욱 그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신 고지라〉는 그러지 않았다. 최고의 상영관을 두고 최악의 상영환경을 보여주었다. 상상해보자. 스타리움관의 중앙을 기준으로 절반 정도만 쓰는 영화를. 거기에 그치지 않는다. 영어 자막을 위해 그 절반의 스크린에 또 레터박스를 넣는다. 거대한 스크린을 두고 뭘 하는 것일까. 더 쓰다간 다시 화날 것 같다. 영화 이야기나 하자.
안노의 고지라다. 고지라는 미국산만 본게 전부라서 종주국의 고지라는 이게 처음이다. 하지만 미국과 다른 고지라를 보기엔 충분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이 영화는 일본 정부가 주인공이다. 재난에 대처하는 정부의 관료들이 주인공이라 할 수 있다. 그 점이 지독할 정도로 집요하게 그려지기 때문에 동일본대진재 때의 일본 정부를 알아야 이 영화를 제대로 즐길 수 있을 정도다. 내내 펼쳐지는 회의와 화면을 가득 메우는 법조항들을 보면 어떤 이들은 이게 뭐냐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그정도까진 아니더라도 〈컨테이전〉 같은 재난대처물을 좋아한다면 괜찮을 것이다. 희대의 재난을 — 이 경우는 고지라라고 하는 괴수 — 이겨내려는 이들을 보는 ‘재미’는 시대가 지나도 줄어들지 않는다.
그러니 빨리 한국에 제대로 극장 개봉해서 큰 스크린으로 다시 보고 싶다. 상영환경 최악이었는데도 영화를 신나고 재밌게 봐서 열 받는단 말이야. IPTV로 직행한다면 일본에 가서 보지 못한 것을 분명 크게 후회할 것이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초대 고지라는 이번처럼 괴수화된 재난물이었다고 한다. 그 이야기까지 듣고나니 2년 전 미국에서 만들어진 고지라가 왜 호평이었는지 알 것 같다. 고지라는 그냥 괴수가 아니라 재해여야 하니까.